대학원

대학원

HOME 대학원 산업대학원(컴퓨터IT공학과)

산업대학원(컴퓨터IT공학과)

실천적인 프로그래머 양성

최근 전산학 분야 중에서도 소프트웨어 분야는 기술적인 면에서 급변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응용 분야의 발달 또한 가속화되어, 전산 관련 응용은 사회 각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아울러 인력에 대한 사회적 요구 또한 중대되어 전문인의 배출이 그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학과에서는이러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수 있는 전산 전문 인력양성을 위하여, 크게 고급 프로그래머의양성과 시스템공학요원의양성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산학협동의 재교육 훈련을 통한 전문기술인의 양성과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에 공헌하는 전문인을 양성하여 산업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키우고 첨단 기슬의 응용력을 높이는 데에 중점올 두며, 이를 교육 환경에 최대한 반영함에 역점을 두고 있다.

교수현황

교수현황 : 교수명, 연구지도에 대한 정보 제공
교수명 연구지도
김병만 인공지능, 정보검색, 컴퓨터보안
김시관 병렬처리, 병렬알고리즘설계, 무선통신
이현아 자연어처리, 정보검색, 지능형시스템
김선명 무선네트워크및이동통신
이해연 컴퓨터비전, 디지털 포렌식, 멀티미디어, 딥러닝
김성렬 웹플랫폼, 빅데이터, 데이터마이닝
전태수 지능형 이동 컴퓨팅, 상황인지 컴퓨팅, IoT 및 SW 플랫폼
김영우 인공지능, 컴퓨터비전, 신호처리, 패턴인식
김영원 확장현실(가상/증강/혼합 현실), 메타버스, 디지털전환, 휴먼컴퓨터인터랙션
이광희 자연어처리, 인공일반지능

교과과정

>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 심화프로그램의 전공 영역 교과과정 : 학년, 구분, 1학기, 2학기,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에 대한 정보 제공
구분 교과목코드 과목명(국문) 학점 시간 평점반영여부 학점반영여부
전공 ITI001 컴퓨터아키텍쳐 3 3 O O
전공 ITI002 지능형컴퓨팅 3 3 O O
전공 ITI003 컴퓨터비전 3 3 O O
전공 ITI004 멀티미디어프로그래밍 3 3 O O
전공 ITI005 모바일프로그래밍 3 3 O O
전공 ITI006 네트워크컴퓨팅 3 3 O O
전공 ITI007 데이터베이스프로그래밍 3 3 O O
전공 ITI008 객체지향소프트웨어공학 3 3 O O
전공 ITI009 임베디드프로그래밍 3 3 O O
전공 ITI010 그래픽스프로그래밍 3 3 O O
전공 ITI011 웹프로그래밍 3 3 O O
전공 ITI012 정보보안 3 3 O O
전공 ITI013 분산컴퓨팅 3 3 O O
전공 ITI014 객체지향시스템 3 3 O O
전공 ITI015 비쥬얼프로그래밍 3 3 O O
전공 ITI016 정보검색시스템 3 3 O O
전공 ITI017 확장현실 3 3 O O
논문연구 ITI912 석사논문연구 3 0 X 0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전체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교과목해설

ITI001 컴퓨터아키텍쳐(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와 그 작동 원리를 학습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저장장치, 입출력 장치 간의 상호작용과 데이터 흐름 등이 포함된다. 또한, 명령어 집합 구조와 컴퓨터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도 학습한다.
ITI002 지능형컴퓨팅(Intelligent Computing)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그리고 딥러닝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딥러닝의 기본의 되는 인공신경망 기반 학습 방법 그리고 이를 발전시킨 심층신경망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또한 컴퓨터 비전에 많이 사용하는 CNN 심층신경망, 시퀀스 데이터 처리에 많이 사용하는 LSTM, 트랜스포머, 그리고 생성형 AI 기술 중 하나인 GAN, ChatGPT의 원리 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ITI003 컴퓨터비전(Computer Vision)
이미지 및 비디오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해석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이미지 개념, 이미지 처리, 특징 추출, 객체 인식 및 추적 알고리즘 등이 포함된다. 또한,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컴퓨터가 시각적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방법과 OpenCV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실제 컴퓨터비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ITI004 멀티미디어프로그래밍(Multimedia Programming)
멀티미디어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그래픽스,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개념, 멀티미디어 응용 기술 등이 포함된다. 또한 파이썬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를 직접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ITI005 모바일프로그래밍(Mobile Programming)
이동 컴퓨팅의 기본 개념을 익히고 개발환경, 응용 분야 등에 대해 다룬다. 특히, 자바 기반 개발 환경과 멀티플랫폼 개발 환경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이용한 응용프로그램 개발 기법도 익힌다.
ITI006 네트워크컴퓨팅(Network Computing)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기본 개념을 소개한다. 다루는 주제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근거리 및 광역 네트워크, 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다양한 새로운 기술이 포함된다.
ITI007 데이터베이스프로그래밍(Database Programming)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와 구현, 관리 기술을 익히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SQL 쿼리 작성 및 최적화, 정규화, 무결성 유지, 트랜잭션 관리, 동시성 제어 등을 알아본다. 또한, NoSQL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ITI008 객체지향소프트웨어공학(Object Oriented Software Engineering)
신뢰도 높은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개발 방법, Project 관리 기법, 개발 환경 등을 다룬다.
ITI009 임베디드프로그래밍(Embedded Programming)
산업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기본 개념, 특성 등을 익혀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다룬다.
ITI010 그래픽스프로그래밍(Graphics Programming)
2D 및 3D 그래픽스의 기본 원리와 기술을 학습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그래픽스 파이프라인, 렌더링 기법, 변환 및 조명 모델링 등이 포함된다. 또한, 오픈지엘 라이브러리와 유니티를 활용하여 실제 그래픽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ITI011 웹프로그래밍(Web Programming)
HTML, CSS, JavaScript를 포함한 프론트엔드 기술과 서버 측 프로그래밍 언어 및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백엔드 기술을 다룬다. 또한, 최신 프레임워크를 학습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실무역량을 기른다.
ITI012 정보보안(Information Security)
정보보안 이론을 바탕으로 암호학, 네트워크 보안 등을 살펴보고,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깊게 학습한다. 최신 보안 위협과 대응 방법, 보안 정책 수립 및 관리, 리스크 분석 등을 알아본다.
ITI013 분산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여러 대의 컴퓨터가 협력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산 시스템의 개념, 아키텍처, 상호 통신 프로토콜, 동기화 기법, 분산 파일 시스템 및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ITI014 객체지향시스템(Object-Oriented System)
본 과목에서는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기본 개념 및 특성, 객체지향 모델링 방법에 대해 다룬다. 그리고 객체지향 패러다임이 프로그래밍 언어와 시스템에 어떻게 도입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ITI015 비쥬얼프로그래밍(Visual Programming)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을 다룬다. GUI 프로그래밍의 기본이 되는 이벤트 중심의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살펴본 후, GUI 프로그램을 보다 편하게 작성할 수 있는 비쥬얼 환경과 이를 이용한 GUI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살펴본다.
ITI016 정보검색시스템(Information Retrieval System)
정보처리에 관한 과제를 다룬다. 주로 텍스트 처리에 중점을 두어 텍스트의 저장, 텍스트의 압축, 테스트 내용 검색, 역색인, 동적색인, 정보검색 평가 등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ITI017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 확장현실의 기초 이론에 대해 학습하고, 다양한 확장현실 실감 콘텐츠를 설계하고, 현장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디바이스(HMD)에 직접 구현해 본다.
ITI912 석사논문연구(Master Paper Research Work)